사회성은 사회에 적응하는 태도와 능력을 말하는 것으로 사회성은 어느 한 영역의 발달 결과물이 아닙니다.
즉, 사회성은 아이들에게 필요한 모든 발달 영역이 골고루 발달되어 서로 조화를 이뤄야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사회성 발달에 필요한 발달 영역
자기조절력과 도덕성
사회의 기준에 맞게 행동하기 위해서는 자기조절능력은 필수적입니다. 또한 도덕성 또한 발달되어 있어야합니다.
기질과 정서조절 능력
아무래도 예민한 성격보다 원만한 성격을 가진 사람이 다른 사람들과의 충돌없이 지내는 확률이 높겠죠?
따라서 안정적인 기질을 가지고 있는 아이일수록 사회성 발달에 긍정적일 수 밖에 없습니다.
또한 올바른 애착 형성과 참을성과 같은 정서조절 능력의 발달도 필요합니다.
자존감과 자기표현력
친구들을 쉽게 사귀고 많이 사귀는 사람을 보면, 다른 친구들이 나를 어떻게 생각하는지 하나하나 전전긍긍해 하면서 행동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자기 자신에 대한 자신감 즉 자존감이 발달되어있어야 합니다. 또한 자기표현력 또한 중요합니다.
친구들과 잘 어울리려면 내 주장만 펼쳐서도 안되지만 남에게 다 맞춰져도 안되기 때문입니다. 의견이 서로 상충되는 경우 서로의 의견을 절충하고 조율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입니다.
집중력
집중력은 공부할 때만 필요한 것이 아닙니다.
집중이 필요할 때 집중력이 떨어지면 자꾸 지적을 받는 등 부정적인 피드백을 받게 되는데요. 이 경우 성취 동기가 떨어지며 실패 경험이 많아져 의기소침해질 수 있습니다.
사회성 발달을 방해하는 요인
▶ 기질 자체가 예민하거나 소극적인 경우
▶ 낯가림이 심한 경우
▶ 언어표현력이 떨어지는 경우
▶ 자기주장을 잘 표현하지 못하는 경우
▶ 공감능력이 떨어지는 경우
▶ 사회적인 상황 파악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
▶ 대처능력이 떨어지는 경우
사회성을 키워주는 방법
1. 사회성 키우기 훈련
만약 자기주장 표현이 약하다면 자기주장을 펼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줍니다. 가족회의 등을 통해 아이가 자신의 생각을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주세요. 이 때 아이가 자기주장을 표현할 수 있도록 여유를 가지고 기다려 줘야 합니다. 재촉하면 안되요.
공감능력이 약하다면 대화할 때 아이와 눈을 맞추거나 고개를 서로 끄덕여 주는 등 말하는 사람의 이야기를 잘 들을 수 있도록 훈련해주세요.
주도성이 부족하다면 아이 스스로 결정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합니다.
아이가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해주세요. 아이가 울 때, '왜 울어! 얼른 말하라니까!'가 아니라 '속상해? 속이 풀릴 때 까지 기다릴께. 그 다음 얘기해보자'라고 해주세요. 아이로하여금 자신의 이야기를 들어줄 준비가 되었다는 것을 느낄 수 있도록 해주세요.
2. 유익함에 대한 교육
아이와 같이 시간을 보낼 때, '너와 이렇게 이야기하니 좋네'라고 표현해 주세요.
긍적적인 피드백과 기억은 긍정적인 효과를 냅니다.
3. 보상
아이에게 보상이 필요할 때 물질적인 것 보다 긍정적인 상호작용을 하는 것으로 보상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와 보드게임 등을 하는 것도 좋아요.
4. 역할 모델
아이들은 부모의 모습을 따라한다는 말이 있습니다. 즉, 다른 사람과 관계 맺을 때 필요한 기술들을 말보다 직접 보여주는 것이 좋습니다.
5 행동 조절
아이가 어떤 과제를 해결하는데 힘들어 한다면, 적절한 대안 등을 제시해 아이가 행동을 조절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줍니다.
'아이성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들과 딸 육아법은 다르다? (0) | 2019.12.05 |
---|---|
사회성 발달에 필요한 자존감 키우는 방법 (0) | 2019.12.04 |
산만한 아이, ADHD와의 차이는 (0) | 2019.11.28 |
기저귀 성공적으로 뗄 수 있도록 하는 방법 (0) | 2019.11.27 |
아이 사회성발달, 전문가 상담이 필요할 때는? (0) | 2019.11.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