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성장

아이 사회성발달, 전문가 상담이 필요할 때는?

초등학교 입학 전의 아이들의 경우 자기중심적인 경향이 강하기 때문에 장난이 심한 친구라도 선생님이 중재를 하면 싫어도 놀이에 끼워줍니다.

그러나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학년이 올라가면 갈 수록, 문제를 일으키는 아이와는 관계를 잘 맺지 않으려고 합니다.

규칙을 지키고 집단생활을 하는 방법을 배우면서 그룹 내에서 자기가 주목받고 인정받고 싶어하기 때문입니다.

 

이미지 : pixabay.com

사회성을 키우기 위한 방법

1. 아이에게 부족한 부분을 찾아 고칠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친구를 만나면 인사해요.

친구와 놀 때 놀잇감을 나누어 놀아요.

놀이할 때 규칙을 지켜요.

친구에게 칭찬의 말을 해요.

혼자 너무 시끄럽게 떠듥나 대장처럼 굴지 않아요.

위의 내용은 친구를 만들고 사귀는 방법인데요. 이처럼 아이에게 필요한 부분이 무엇인지 찾아보고 아이에게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고칠 수 있도록 합니다.

 

2. 객관적으로 보고, 필요시 전문가와 상담을 하세요.

아이를 객관적으로 볼 수 있는 사람. 바로 선생님입니다.

따라서 선생님을 통해 아이의 생활이 어떤지 물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그리고 문제가 되는 행동이 있다면 얼마나 그러한 행동을 하는지도 물어봅니다.

만약 문제되는 행동을 하는 친구가 반에서 10% 내외라면 문제가되는 행동을 하지 않도록 도와줘야 합니다.

 

'EBS 60분 부모 : 문제행동과의 한판승 편(서적)'에 따르면 아래의 경우에 해당되는 경우 전문가 상담을 받아볼 필요가 있다고합니다.

1. 말이나 행동으로 하는 의사소통에 문제가 있어요.

2. 사회적반응이 없어요.

3. 다른 사람과 같이 즐거워하지 못하는 등 사회적 해동이 부족해요.

4. 다른 사람에 대해 관심이 없어요. 자기만의 세계에 빠져있어요.

5. 눈을 마주치지 않아요.

6. 감정을 극단적으로 표현하고 다른 사랑메 대해 심한 공격성을 보여요.

7. 자신을 귀찮게 하는 변화를 극복하기 어려워해요.

8. 접촉, 빛, 소리, 맛 등의 자극에 과민하거나 둔감해요.

9. 기이하거나 비정상적인 행동을 보여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