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교육

초등학교 저학년 전학 시기, 언제가 좋을까?

초등학교 입학 후, 전학을 해야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오늘은 초등학교 전학절차와

러블리맘이 생각하는 전학시기에 대해 적어보려고합니다.

 

이미지 : pixabay.com

초등학교 전학절차

아래 전학 절차는 연초에 전학하는 기준으로 작성하였습니다.

 

1. 담임선생님께 미리 말씀드리기
연초에 전학가기로 하셨나요?

그렇다면 재학중인 학급의 담임선생님께 전학 계획을 알립니다. 학년 말이 되면 성적통지표가 배부되는데요, 아무래도 다니고 있던 곳에서 성적통지표를 받고 행정적인 처리 또한 마무리 짓는 것이 좋기 때문입니다.


저는 아이가 재학중인 학교의 담임선생님께 내년 3월 새로운 학교로 전학할 계획이라고 11월 경 말씀드렸습니다. 때문에 1학년은 현재 다니는 곳에서 마칠 수 있도록 행정적인 조치 등을 취해달라고 말씀드렸죠. 담임선생님께서는 현재 학교가 종업식을 하기 전까진 새로운 학교의 전학 처리를 유보하라고 하셨습니다. 종업식을 기점으로 해당 학년이 행정적으로 교육적으로 마무리되는 것 같아요.

 

재학중인 학교 종업식 날. 1년 동안 고생하신 담임선생님께 인사드리고 아이 몫으로 배부된 교과서를 받았습니다.

교과서는 꼭 받으셔야합니다.

교과서는 현재 아이가 소속된 학교에서 신청이 들어가기 때문에, 교과서를 받지 않고 새로운 학교로 가게 되면 서점 등에서 교과서를 따로 구매해야 할 수도 있기 때문이에요. 학교에 여유분이 있다면 교과서를 받을 수 있으니 상관없지만요.

2. 이사 후, 주민센터에 전입신고 하기 + 전학통지서 받기
이사는 겨울방학에 맞춰 1월경 진행하고, 전입신고를 마쳤습니다. 전입신고시 취학중인 아이가 있다고 말씀드렸더니 전학갈 학교에 제출할 전학통지서를 받을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전학통지서를 곧바로 전학할 학교에 제출하지는 않았습니다.

 

3. 재학 중인 학교 종업식 이후, 전학갈 학교에 전학통지서 제출

전학갈 학교에 전학통지서는 현재 재학중인 학교 종업식 이후 제출했습니다. 그래야 현재 재학중인 학교에서의 학년 마무리가 잘 될 수 있기 때문이예요.

전입 신고시 받은 전학통지서는 아이가 전학 갈 학교 행정실에 제출습니다. 이후 필요한 서류 몇 가지도 같이 작성했습니다. 이렇게하면 전학 절차는 완료!

4. 신학년 배정받은 반으로 아이를 보냅니다.
3번까지 모두 다 했다면, 이제 새로운 학년으로 개학이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배정받은 학급으로 이동하면 됩니다.
반 배정은, 신학기의 경우 학교 행정실에서 개학 전 문자나 유선연락으로 배정된 반을 알려주시더군요.

 


이미지 : pixabay.com

초등학교 전학시기

초등학교에 전학을 갈 경우 친구 관계 등을 고려해서라도 학년 시작할 때 새로운 곳에서 시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아요. 새로운 학년으로 올라가면 이미 친해진 친구들도 있겠지만 다른 반에 있던 아이들이 같이 섞여있기 때문에 전학을 한다고 해도 아이들과 어울리는데 도움이 될 수 있거든요.

이 때문에, 저희는 아빠 혼자서 약 6개월 정도 혼자 계셨었어요. 1학년을 마치고 2학년 첫 시작할 때로 전학 시기를 고려했기 때문입니다.
결론요? 이 시기 전학한 것은 좋은 선택이었다고 생각해요.
전학 간 학교의 규모다 작지 않아서인지 1학년 때 같은 반이었던 친구들이 2학년 때도 같은 반이 될 확률이 크지 않았기 때문에, 친구를 사귀는데 어려워하지 않았거든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