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에 있는 시간이 많을수록 아이들이 게임 등으로 시간을 보내는 경우가 있습니다.
에디터는 아이가 하는 게임을 막을 수 없다면, 최소한으로 아이가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다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적당한 게임시간을 주는 것으로 긍정적인 효과도 있을 수 있다고 생각하기 때문인데요.
그래서 이번 포스트에서는 아이들이 적당한 시간 게임을 할 때의 긍정적인 효과와 적당한 게임시간은 어느 정도 되는지 적어보려고 합니다.
적당한 게임이 아이들에게 주는 긍정적인 효과
Healthday Reporter에 따르면,
노르웨이 과학 기술 대학에서 6~12세 사이의 노르웨이 어린이들의 게임 습관과 사호적 상호작용을 추적 관찰한 결과, 남자아이들의 경우 게임하는 시간이 아이들의 사교 기술과 능력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는 결과를 얻었습니다. 그러나 여자아이들의 경우 게임에 많은 시간을 할애할수록 12세가 되었을 때 사회적 상호작용에 어려움을 겪는다는 결과를 얻었다고 발표했습니다.
왜 같은 게임인데 남자아이와 여자아이에게 주는 효과가 다른 것을까...?
여자아이들의 경우 남자아이들에 비해 노는 집단의 크기가 작으며, 그만큼 친밀한 관계를 유지합니다. 또한 게임에 투자하는 시간도 여자아이들이 남자아이들에 비해 작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게임을 많이 하는 여자아이들의 경우 같은 또래 집단에서 지내는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또한 대화 내용을 볼 때도, 남자아이들에 비해 여자아이들은 감성적인 내용이 상대적으로 많습니다. 따라서 비디오 게임에 몰두할수록 여자아이들은 사회적 상호작용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습니다.
남자아이들의 경우 게임을 하는 시간이 여자아이들에 많을뿐더러 이미 남자아이들의 문화에 게임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적절한 시간 게임을 하는 것은 친구들과 지내는데 문제를 일으키는 것은 아니라고 합니다.
미국과 프랑스의 공동 연구진에 따르면,
적당한 게임은 아이들에게 오히려 도움을 줄 수 있다고 발표했습니다.
연구진은 6~11세 9,084명을 조사한 결과 게임을 일주일에 5시간 이상 아이는 5명 중 1명꼴로 나타났는데요.
적당한 시간 동안 게임을 하는 아이들이 게임을 전혀 하지 않는 아이들에 비해 인지력은 1.75배, 학교 성적은 1.88배 높았을 뿐 아니라 또래관계 면에서도 긍정적인 관계를 맺어나가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발표했습니다.
적당한 게임시간
영국 옥스퍼드 대학 연구진에 따르면,
아이들의 적당한 게임시간은 하루 1시간 이하입니다.
10~15세 5,000명을 대상으로 게임시간에 따른 효과를 연구한 결과 하루 1시간 이하로 게임을 하는 어린이의 사회성과 행복지수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을 뿐 아니라, 게임을 전혀 하지 않는 어린이에 비해 폭력성을 비롯해 문제행동을 일으킬 위험성도 적은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입니다.
그러나 게임 시간이 늘어날수록 문제는 발생합니다.
하루 3시간 이하로 게임을 하는 어린이의 경우 사회성과 행복지수는 중간 수준이었으며,
하루 3시간 이상 게임을 하는 어린이의 경우 오히려 게임을 하지 않는 어린이에 비해 학업 성적이 낮아질 뿐 아니라 여러 가지 문제행동을 일으킬 위험 또한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즉, 게임시간 조절이 가능하다면 아이들이 게임하지 못하게 무조건 막기보다는 적당한 시간 게임을 허용하고, 조절이 어렵다고 판단되는 경우라면 게임을 하지 못하게 막는 것이 현명하다고 에디터는 생각합니다.
자녀의 게임 중독을 막기 위한 10 계명
[콜럼비아대학·파리 데카르트 대학 연구팀]
1. 매일 30분 게임을 하는 것보다 일주일에 한 번 90분 게임을 하는 것이 낫습니다.
2. 컴퓨터는 부모가 잘 볼 수 있는 거실 등에 둡니다.
3. 자녀가 어떤 게임을 하는지 직접 확인합니다.
4. 게임 내 유료 결제는 하지 못하도록 단호하게 막습니다.
5. 게임을 한 후, 운동을 하는 등 다른 활동을 제시해 잔상을 없애주어야 합니다.
6. 아이와 함께 게임 이용에 대한 약속을 정하고, 약속을 지키면 칭찬을 합니다.
7. 야단치며 게임을 부조건 못하게 하는 행동은 아이의 게임 집착을 부추길 수 있습니다.
8. '혹시 게임 중독이 아닐까?' 하며 늘 확인합니다.
9. 또래 부모님들과 함께 제대할 계획을 세우고 지킵니다.
10. 상담 센터나 병원 방문을 두려워하지 않습니다.
[참고] EBS NEWS <뉴스G> 적당한 게임시간, 기준은?
[참고] 매일 경제 - 게임을 즐기는 아이가 학업성적이 더 좋다면?
'아이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집중력있게 자리에서 공부하도록 도와주는 방법 (0) | 2020.07.08 |
---|---|
초등학생 사춘기 아동의 심리 및 대응방법 (0) | 2020.06.29 |
유아기부터 초등저학년 아이 학습을 위해 부모가 해야 할 것과 하지 말아야 할 것 (0) | 2020.06.08 |
초등학교 입학 전 준비해야 할 것(생활 관련) (0) | 2020.06.05 |
학부모상담, 목적에 맞게 준비하세요 (0) | 2020.06.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