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가 어릴 수록 말 그대로 너무 순진해 상황을 잘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어느정도 자라면서까지도 상황파악을 못하고 행동하거나 말을 할 경우 '눈치 없다'라는 말을 듣게되는데요.
이러한 말을 여러번 반복해서 들을 경우 자존감이 낮아질 뿐 아니라, 자신감 또한 부족해져 집단 내 활동에 어려움을 겪게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집단 내 잘 적응하고 지내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주변 상황을 파악하고 행동하고 말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아이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읽어 적당한 행동이나 말을 취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배려 드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눈치도 적당히 봐야 합니다. 지나치게 눈치를 보는 것 또한 긍정적인 사회 생활을 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눈치 없는 아이, 눈치 키우는 방법
연극놀이
상황극놀이, 상상놀이, 역할놀이 등을 통해 아이가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합니다. 이러한 놀이는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볼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의도나 감정, 행동을 보다 이해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동화책 읽어주기
공감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아이와 같이 동화책을 읽어주세요. 이후 동화책 속 등장인물에 대한 감정과 행동에 대해 이야기해봅니다. 이를 통해 남의 감정에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조금씩 키워나갈 수 있다고해요.
충분한 가족간의 대화
사회에 필요한 기본기술을 배울 수 있는 곳이 바로 가정입니다. 따라서 가정 내 어떠한 상황이 벌어졌을 때 아이와 함께 충분한 대화를 하는 것이 좋은데요.
예를 들어 동생이랑 같이 놀고 싶은데 동생이 짜증낸다면, 아이에게 이렇게 얘기해줄 수 있습니다.
"동생이 오빠랑 같이 놀고 싶었는데 지금은 혼자서 놀고 싶은가봐. 혼자 놀고 싶어할 때 누가 건드리면 짜증낼 수 있어.'라고 말입니다.
상황 발생 시 상황에 대해 이해시키기
집 안에서, 집 밖에서 활동을 하다가 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리고 텔레비전 등을 보다가 주인공이 어떠한 상황에 닥치는 장면이 나왔을 때 아이에게 현재 발생한 사회적 상황에 대한 분위기 등에 대해 설명해줍니다.
사회적 상황 만들어주기
아이들이 다른 사람과 많이 어울릴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필요한 사회적 기술(갈등이 생겼을 때 해결하는 방법 등)을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형제가 있다면 형제끼리, 형제가 없다면 부모가 같이 해줘도 좋겠지만, 또래 친구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세요.
'아이성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조숙증, 원인과 치료방법 그리고 예방하기 (0) | 2020.06.04 |
---|---|
초등학교 책가방 선택시 고려해야할 것 (0) | 2020.06.03 |
아들과 딸 육아법은 다르다? (0) | 2019.12.05 |
사회성 발달에 필요한 자존감 키우는 방법 (0) | 2019.12.04 |
아이 사회성 발달에 필요한 발달 영역 (0) | 2019.12.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