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아이성장

눈치 없는 아이 눈치 키우기

아이가 어릴 수록 말 그대로 너무 순진해 상황을 잘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그러나 어느정도 자라면서까지도 상황파악을 못하고 행동하거나 말을 할 경우 '눈치 없다'라는 말을 듣게되는데요.

이러한 말을 여러번 반복해서 들을 경우 자존감이 낮아질 뿐 아니라, 자신감 또한 부족해져 집단 내 활동에 어려움을 겪게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집단 내 잘 적응하고 지내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주변 상황을 파악하고 행동하고 말해야 합니다.

이를 통해 아이는 다른 사람의 감정을 읽어 적당한 행동이나 말을 취할 수 있게 될 뿐 아니라 다른 사람에게 배려 드을 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물론 눈치도 적당히 봐야 합니다. 지나치게 눈치를 보는 것 또한 긍정적인 사회 생활을 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눈치 없는 아이, 눈치 키우는 방법

이미지 : pixabay.com

연극놀이

상황극놀이, 상상놀이, 역할놀이 등을 통해 아이가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할 수 있도록합니다. 이러한 놀이는 다른 사람의 입장이 되어볼 수 있기 때문에 다른 사람의 의도나 감정, 행동을 보다 이해해볼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습니다.

 

동화책 읽어주기

공감능력이 부족하다고 생각되는 경우 아이와 같이 동화책을 읽어주세요. 이후 동화책 속 등장인물에 대한 감정과 행동에 대해 이야기해봅니다. 이를 통해 남의 감정에 공감할 수 있는 능력을 조금씩 키워나갈 수 있다고해요.

 

충분한 가족간의 대화

사회에 필요한 기본기술을 배울 수 있는 곳이 바로 가정입니다. 따라서 가정 내 어떠한 상황이 벌어졌을 때 아이와 함께 충분한 대화를 하는 것이 좋은데요.

예를 들어 동생이랑 같이 놀고 싶은데 동생이 짜증낸다면, 아이에게 이렇게 얘기해줄 수 있습니다.

"동생이 오빠랑 같이 놀고 싶었는데 지금은 혼자서 놀고 싶은가봐. 혼자 놀고 싶어할 때 누가 건드리면 짜증낼 수 있어.'라고 말입니다.

 

상황 발생 시 상황에 대해 이해시키기

집 안에서, 집 밖에서 활동을 하다가 상황이 발생했을 때.

그리고 텔레비전 등을 보다가 주인공이 어떠한 상황에 닥치는 장면이 나왔을 때 아이에게 현재 발생한 사회적 상황에 대한 분위기 등에 대해 설명해줍니다.

 

사회적 상황 만들어주기

아이들이 다른 사람과 많이 어울릴 수 있도록 합니다. 이를 통해 필요한 사회적 기술(갈등이 생겼을 때 해결하는 방법 등)을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형제가 있다면 형제끼리, 형제가 없다면 부모가 같이 해줘도 좋겠지만, 또래 친구들을 만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