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항상 가까이 있고, 많은 영향을 주는 사람은 바로 부모님일 것입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부모양육태도에 대해 정리해보려고 합니다.
부모양육태도
수용적인태도/민주적양육태도
가장 바람직한 양육태도입니다.
부모가 자녀에게 많은 관심을 갖고 사랑으로 대하는 동시에, 아이의 요구사항 등에 대한 반응성 또한 높습니다. 또한 자녀를 한 인간으로서 독립적인 존재로 존중합니다.
수용적이고 민주적인 양육태도를 가진 부모 아래에서 자란 아이들의 경우, 정서적으로 안정되어 있으며 긍정적이고, 사교적이고, 협동적이고, 책임감 또한 강한 모습을 보입니다. 또한 스트레스에 대해 잘 대처할 수 있는 힘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 사교적/협동적/목적(성취)지향적/자기통제력/높은스트레스대처능력
익애적인태도/과잉보호적양육태도/허용적인태도
익애란 흠뻑 사랑에 빠진 것을 의미합니다.
제가 부모교육을 들었을 때....
강사분께서 말씀하시길 현재 '허용적인태도(익애적인태도/과잉보호적양육태도)'를 가진 부모님들이 많다고 하셨는데요. 사전적인 의미로만 보면 '익애'적인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들의 경우 매우 행복하게 잘 자랄 것 같습니다.
익애적인태도(과잉보호적양육태도)를 가진 부모님의 경우 아이 스스로 할 수 있는 나이가 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사랑이라는 이유로 인해 아이 나이에 맞지 않게 보호하려고 하거나 도와주려고 합니다. 또한 자녀도 하나의 인격체로 대해야 한다는 믿음을 가지고 있으며, 자녀의 자율성을 전적으로 존중하는 태도를 보입니다.
그러나 이러한 생각 때문에 아이가 원하는 것은 웬만하면 다 들어주려고 하는 양육태도로 상대적으로 부모는 권위 있는 존재로 인지되지 못합니다.
과잉보호적양육태도(익애적인태도/허용적인태도)를 가진 부모님 밑에서 자란 아이들의 경우 항상 다른 사람들에게 관심을 갖기를 원합니다. 또한 부모가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줄 것이라는 생각에 부모에 대한 의존성이 강합니다. 또한 자신감이 부족하거나 불안 및 집중력 결핍, 사회성 부족 등의 모습을 보입니다.
☞ 어른에게 저장/공격적인 태도/낮은성취지향성/충동성/약한자기통제력
지배적인태도/권위적양육태도
부모 말이 법!
무조건 부모가 정한 규칙이나 규율 등을 지키고, 부모의 말에 복종하도록 요구하는 태도를 말합니다. 또한 체벌 또한 아이를 위한 것이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때에 따라서는 체벌 또한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유형입니다.
지배적인태도(권위적양육태도)를 가진 부모님 밑에서 자란 아이들의 경우 겉보기에는 겸손하고 조심성 있는 행동 등이 보여 모범생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그러나 자신의 감정을 수용받은 경험보다 강압 받은 경험이 상대적으로 많기 때문에 부정적인 자아존중감, 열등감 또는 우울감 등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수동적이고 자신의 행동에 확신을 갖지 못할 뿐 아니라 갈등을 일으키고 화를 잘 내는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 높은 스트레스/우울감/부정적인 자아존중감/수동적태도
기대하는태도
아이에게 지나친 기대를 가진 부모 유형으로 부모가 미처 이루지 못했던 것을 아이를 통해 이루려고 하는 태도를 가진 부모를 말합니다.
이 경우, 부모의 지나친 기대로 인해 아이는 부담감을 갖게 되고, 부모의 기대치를 맞추기 위해 과하게 밀어붙일 경우 열등감을 갖게 만들 수 있습니다. 또한 쉽게 화를 내기도 합니다.
☞ 열등감/높은 스트레스/우울감
적대적인태도
익애적인태도(과잉보호적양육태도)와 반대되는 것으로 아이에게 적대적인 모습을 보이는 부모유형입니다.
적대적인 태도를 가진 부모 밑에서 자란 아이들의 경우 자신감이 부족하고 좌절감을 쉽게 느낍니다. 또한 사회부적응, 반사회적행동 등을 보이는 경우가 있습니다.
☞ 좌절감/사회부적응/반사회적행동
'아이성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충분한 수면은 아이들에게 꼭 필요해요 (0) | 2020.06.24 |
---|---|
가정에서의 어린이 안전사고 유형 및 예방법 (0) | 2020.06.23 |
사회성과 사교성은 다릅니다 (0) | 2020.06.18 |
사회적 기술 향상시키는 방법 (0) | 2020.06.17 |
긍정적인 관계를 맺기 위해 필요한, 공감능력 키우는 방법 (0) | 2020.06.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