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분한 수면은 아이들에게 꼭 필요해요
아이들이 건강하게 잘 자라기 위해서는 먹는 것, 노는 것도 중요하지만 충분한 잠을 자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잠은 자는 시간도 중요하지만 양질의 잠(숙면)을 취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럼 아이 연령별 얼마나 수면을 취해야 하는지, 숙면을 취하기 위해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정리해보겠습니다.
아이 연령별 적당한 수면시간
아이가 건강하게 자라는 데 있어 수면이 중요하다고는 하지만, 뭐든지 부족한 것도 좋지 않지만 과한 것도 좋지 않습니다. 잠도 마찬가지입니다.
그럼 건강한 몸을 위해 적당한 수면시간을 얼마나 될까요?
미국수면재단에서 2015년 발표한 연구자료에 따르면 연령별 적정 수면시간은 아래와 같습니다.
만 0~3개월
권장 수면시간은 14~17시간이며,
11시간 이하 또는 19시간 이상의 수면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만 4~1개월
권장 수면시간은 12~15시간이며,
10시간 이하 또는 18시간 이상의 수면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만 1~2세
권장 수면시간은11~14시간이며,
9시간 이하 또는 16시간 이상의 수면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만 3~5세
유아기관(어린이집, 유치원)에 가기 시작하는 시기로,
권장 수면시간은10~13시간이며,
8시간 이하 또는 14시간 이상의 수면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만 6~13세
학령기에 들어가는 시기로,
권장 수면시간은9~11시간이며,
7시간 이하 또는 12시간 이상의 수면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만 14~17세
권장 수면시간은8~10시간이며,
7시간 이하 또는 11시간 이상의 수면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숙면을 취할 수 있는 방법
잠을 자는 시간도 중요하지만, 잠의 질도 중요합니다. 따라서 아이가 숙면을 취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도 필요합니다.
취침 전 휴대폰, TV 시청 금지
잠들기 전 휴대폰을 보거나 TV를 시청하고나 컴퓨터 등을 하는 경우 뇌가 흥분되어 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잠을 쉽게 들기 어렵게 됩니다. 따라서 자기 전에는 핸드폰, TV, 컴퓨터 등을 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규칙적인 생활습관
성인들도 늦잠을 자게 되면 다음날 일찍 일어나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 또한 한번 수면 흐름이 깨지면 다시 수면습관을 잡기 힘듭니다. 이 부분은 아이들도 마찬가지입니다. 따라서 다음날 쉬는 날이라고 당일 늦게 재우고 다음날 늦게 일어나도록 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또한 유아기관 등에 가는 아이의 경우 늦게 자는 것이 습관이 든 경우 일찍 잠자리에 드는 아이들에 비해 상대적으로 수면시간이 부족할 수 있습니다. 또한 수면이 부족해질 경우 낮에 피곤함을 느껴 활동에 집중하지 못해 집중력이 흩어지는 모습을 보일 뿐 아니라 예민함을 보일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들의 경우 늦어도 10시 전 잠자리에 들 수 있도록 습관을 잡아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경 조성
잠자리에 들 시간이 가까워지면 목욕하고 양치하고 잠옷으로 갈아입도록 합니다. 또한 마음을 가라앉히기 위해 책을 한 권 읽어주는 것도 좋습니다. 이는 자연스럽게 수면 의식으로 이어질 수 있는데요. 자기 전에 하는 일정한 행동을 반복하게 되면 아이들은 자연스럽게 '아, 이것을 했으니, 이제 곧 자야 할 시간이구나.'라고 의식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잠자리에 들기 전 불편하지 않게 잠자리를 손봐주고, 잠자리에 누웠을 때는 쉽게 잠이 들 수 있도록 조명을 어둡게 조절해주고, 잔잔하고 조용한 음악을 틀어주는 것도 좋습니다.
단호함
자야 하는 시간임에도 불구하고 아이가 잠이 오지 않는다며 더 놀기를 원할 때.... 단호함이 필요합니다. 자야 할 시간임을 다시 이야기해주고, 정해진 시간에 자고 일어나서 다음날 기분 좋게 재미있게 활수 있는 활동에 대해 얘기해주는 것입니다. 그래도 잠을 자기 어려워한다면 아이 옆에서 부모님이 잠들 수 있게 자장가를 불러주거나 등을 토닥여주면서 재워주는 것도 좋습니다.